본문 바로가기

북한 기사/북한 과학

북한 "백두산은 화산분출 가능한 열점"

 

(2015-04-21) 북한 "백두산은 화산활동 가능한 열점"

 

북한이 화산분출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백두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북한은 화산활동이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김일성종합대학을 통해 백두산 화산활동 가능성을 조사했다고 합니다. 김일성종합대학은 이 내용을 올해 초 발표된 김일성종합대학 학보 61권 1호에 게재했다고 합니다.

 

기자가 입수한 학보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은 "백두화산은 대륙 내부 열점으로 볼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열점(hot spot)은 지각이 아주 얇아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나오기 때문에 화산활동이 활발한 곳을 뜻합니다. 열점은 주로 바다 속에 존재하는데 화산분출로 화산섬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북한은 대륙 내부에 이런 열점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곳이 백두산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은 백두산 지하의 열점이 태평양판의 침하와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일성종합대학은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해 이같은 결론을 도출했다고 합니다. 김일성종합대학은 백두산 주변의 암석 분포와 암석 성분을 분석했다고 합니다.

 

<사진1>

 

분석한 자료 중 일부는 사진1과 같습니다.

 

북한은 양태성 분출암이 분포돼 있고 안산암질 분출활동이 진행되지 않은 것, 오랜 기간 중심식 분출활동이 진행된 것, 넓은 등장형의 현무암대지가 형성된 것 등을 열점이라는 근거로 삼았습니다.

 

또 북한은 백두산의 융기(상승) 작용과 형태도 연구했다고 합니다. 북한은 백두산 지역에서 지형변화현상이 현재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합니다. 학보에 따르면 1951년~1982년 기간에 측정된 백두화산지역의 수직변형속도는 연간 4mm 이상으로 북한과 중국동북 지역에서 융기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2002년~2005년에 측정된 자료에 따르면 백두화 지역은 백두산 분화구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모양으로 팽창되였는데 최대 변위는 38cm에 달했다고 합니다. 1928년~1981년 사이에는 천지 수면의 해발높이가 70m 낮아졌지만 백두화산의 최고봉인 장군봉은 오히려 5.7m 높아지는 이상현상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북한은 백두산 지역에서 4000여년전의 탄화목을 발견했는데 당시 이 나무의 생존환경을 고려하면 약 200m 융기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합니다.

 

백두산 화산이 분출하면 그 피해는 막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한은 서기 1000년경 있었던 과거 백두산 화산 활동도 연구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백두산 화산재가 반경 2000 제곱미터 범위까지 확산됐다고 합니다. 한반도의 길이가 약 1000킬로미터라는 점을 고려하면 일본과 만주 상당부분이 화산재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북한은 당시 분출된 암장의 온도는 780℃, 분출기둥의 높이는 25km 였으며 분출지속시간이 111~333h(4.6~14일), 분출된 총에네르기는 (6.15~18.32) ×10의19승J이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 수년 간 한국, 중국, 일본의 일부 지질학자들은 앞으로 백두산이 분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북한도 이를 의식해 이번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주장이 맞다면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더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백두산 화산이 폭발한다면 북한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북한이 조사한 서기 1000년경 폭발을 가정하면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지역의 경제, 사회 전반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주도적으로 북한, 중국, 일본 등과 백두산 폭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대책도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강진규 기자 wingofwolf@gmail.com

 

과거 기사 

2014/01/07 - 북한 "백두산 폭발 대비 연구 국제지원 요청"

 

2015/03/02 - 북한, 백두산 화산 징후 예측 강화